배스 해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스 해협은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사이의 해협으로, 지리적으로는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만과 태즈먼 해를 연결하며, 너비 약 250km, 길이 약 500km, 평균 수심 60m이다. 이 해협은 플라이스토세 동안 해수면 변동으로 형성되었으며, 50개 이상의 섬들이 위치해 있다. 역사적으로는 1798년 조지 배스와 매슈 플린더스가 해협을 탐사하여 유럽에 알려졌으며, 석유 및 가스 자원이 매장되어 에너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해상 교통과 통신의 중요한 경로로, 해저 케이블과 페리가 운행되며, 해양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1978년에는 미확인 비행 물체(UFO) 목격 사건으로 유명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해협 - 토레스 해협
토레스 해협은 오스트레일리아와 파푸아뉴기니 사이에 위치하며 산호해와 아라푸라해를 연결하는 해협으로, 토레스 해협 주민들의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고, 국제 해상 항로로 이용되지만 얕은 수심과 복잡한 지형으로 항해가 위험하다. - 태즈메이니아주의 지리 - 매쿼리섬
매쿼리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남동쪽 태즈메이니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1810년 발견되어 영국령으로 선포되었고, 1997년 지구 맨틀 암석 노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빅토리아주의 지리 -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
오스트레일리아 동부를 따라 길게 뻗어 있는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은 동서 유역의 분수계이자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수자원 공급과 국립공원, 역사적 중요성을 가진 산맥이다. - 빅토리아주의 지리 - 랄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 위치한 랄랄은 1850년대 후반 금광 개발로 시작되어 철광석, 갈탄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1845년 유럽인 정착과 철도 및 우체국 개설로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이룬 지역이다.
배스 해협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위치 | 인도양–태평양 |
유형 | 해협 |
길이 | 500km |
너비 | 350km |
평균 수심 | 60m |
최대 수심 | 155m |
위치한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해양학 |
2. 지리
국제수로기구는 배스 해협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
- '''서쪽 경계:'''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만의 동쪽 경계는 오트웨이 곶에서 킹 아일랜드까지, 그리고 거기서 그림 곶(타즈메이니아 북서쪽 끝)까지 이어지는 선이다.
- '''동쪽 경계:''' 태즈먼 해의 서쪽 경계는 가보 섬(하우 곶 근처)에서 플린더스 섬까지 이어진다. 플린더스 섬 너머로는 배런 섬의 곶을 지나 에디스톤 포인트(타즈메이니아 남위 41°)까지 이어진다.
일부에서는 배스 해협을 태평양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하지만,[2] 현재 시행 중인 국제수로기구의 1953년 초안에서는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1] 오스트레일리아 수로청은 배스 해협을 남극해가 아닌 태즈먼 해에 속한다고 명시한다.[3] 퍼녹스 제도와 태즈메이니아 사이의 해협은 뱅크스 해협이라고 불린다.
배스 해협은 수심이 얕아 물살이 거칠기로 유명하며, 19세기에는 많은 난파선이 발생했다. 1848년 딜 아일랜드에 등대가 세워졌고, 서쪽 입구에는 1848년에 케이프 오트웨이 등대, 1861년에 킹 아일랜드 북쪽 끝에 케이프 위컴 등대가 세워졌다.
2. 1. 해저 지형
배스 해협은 너비 약 250km, 길이 약 500km이며 평균 수심은 60m이다. 가장 넓은 곳은 태즈메이니아 북동쪽 끝의 포틀랜드 곶과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의 포인트 힉스 사이로 약 350km에 이른다.제닝스의 배스 해협 해저 지형 연구[14]에 따르면, 배스 분지라는 얕은 분지가 있는데, 이는 배스 해협 중앙에 위치하며 너비 약 120km, 길이 약 400km (면적 65000km2 이상)이고 최대 수심은 이너 시스터 섬과 플린더스 섬 사이 해협으로 항해 차트에 따르면 155m에 이른다. 배스 해협 동쪽과 서쪽 가장자리에는 각각 '배시안 해저 고원'과 '킹 아일랜드 해저 고원'이라는 두 개의 해양 대지가 있는데, 이들은 고생대 화강암 기반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들은 배스 분지를 인접한 해양 분지와 분리하는 암석층을 형성한다. 50m 미만의 얕은 배시안 해저 고원에는 퍼녹스 제도가 있으며, 그중 가장 큰 섬이 플린더스 섬이다 (최대 고도 760m). 킹 아일랜드 해저 고원의 표면 또한 50m 미만의 수심에 있으며, 북쪽 가장자리에는 얕은 (40m) '테일 뱅크'와 킹 아일랜드 자체가 포함된다. 수중 사구와 조류 퇴적 지형이 배스 해협 해저 약 6000km2를 덮고 있다.[15]
플라이스토세 동안 해수면이 낮았을 때 배스 해협 중앙 분지는 융기된 암석층으로 둘러싸여 큰 얕은 호수를 형성했다. 이는 최종 빙기 최대기 (18,000 BP) 동안 분지가 완전히 고립되었을 때 발생했다. 해양 침범 동안 해수면 상승으로 분지가 범람하여 11,800 BP부터 8700 BP까지 서쪽으로 만입이 형성되었고, 분지 가장자리는 약 8000 BP에 완전히 범람하여 배스 해협이 형성되고 태즈메이니아가 고립된 섬이 되었다.[16]
2. 2. 섬
배스 해협에는 50개가 넘는 섬이 있다. 주요 섬은 다음과 같다.'''서쪽 지역:'''
- 킹 섬
- 쓰리험머크 섬
- 헌터 섬
- 로빈스 섬
'''남동쪽 지역:'''
- 퍼녹스 제도
- * 플린더스 섬 (살아남은 타스마니아 원주민들이 추방당한 곳)
- * 케이프 배런 섬
- * 클라크 섬
- * 시스터 아일랜드 제도 외 다수
'''북동쪽 지역:'''
- 켄트 제도
- * 딜 섬 외 3개의 작은 섬
- 호건 섬
- 커티스 섬
3. 역사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은 약 4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 동안 '''바시안 평원'''이라는 육교를 통해 태즈메이니아에 도착했다. 약 8,000년 전 해수면 상승으로 배스 해협이 형성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와 고립되었다.
배스 해협은 1642년 아벌 타스만에 의해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770년 제임스 쿡 선장도 이 해협에 접근했으나, 육지 연결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동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1798년 매슈 플린더스는 조지 배스와 함께 이 해협을 항해하며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고, 배스의 이름을 따 해협 이름을 지었다.
3. 1. 원주민의 발견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은 약 4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 동안 오늘날 빅토리아 남부 해안(윌슨스 프로몬토리에서 케이프 오트웨이까지)과 태즈메이니아 북부 해안(케이프 포틀랜드에서 케이프 그림까지) 사이에 있던 '''바시안 평원'''이라는 광대한 선사 시대의 육교를 통해 태즈메이니아에 도착했다.[4] 빙하기가 끝난 후 해수면이 상승하여 약 8,000년 전에 바시안 평원이 침수되어 배스 해협이 형성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와 고립되었다. 원주민들은 약 4,000년 전까지 플린더스 섬에 살았다.기록된 언어 집단을 바탕으로 볼 때, 최소한 세 차례의 연속적인 원주민 식민화가 있었다.
3. 2. 유럽인의 탐험
1798년 매슈 플린더스는 배의 의사였던 조지 배스의 이름을 따서 이 해협의 이름을 붙였다.[9] 플린더스의 권고에 따라, 1800년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 존 헌터는 본토와 반 다이멘 랜드(현재의 태즈메이니아) 사이의 수역을 "배스 해협(Bass's Straits)"이라고 명명했다.[10]배스 해협은 1642년 아벌 타스만이 태즈메이니아 해안을 측량하던 중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1770년 4월에는 제임스 쿡 선장이 HMS 인데버호를 타고 이 해협에 접근했다. 그는 바람을 거슬러 두 시간 동안 항해한 후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며 항해일지에 "반 다이멘 랜드와 뉴홀랜드가 하나의 땅인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적었다.[8]
1797년, 시드니 코브호 선장이 배를 고의로 좌초시킨 후 프레저베이션 섬(해협 동쪽 끝)에 표류했다가 시드니에 도착하면서 해협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그는 강한 남서풍과 조류가 태평양과 남인도양을 연결하는 수로에 섬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보고했다. 조셉 뱅크스에게 1797년 8월 해협의 존재가 확실해 보인다는 편지를 썼다.[11]
1798년 배스 해협 발견 소식이 유럽에 전해지자, 프랑스 정부는 니콜라 보댕이 지휘하는 정찰 탐험대를 파견했다. 이는 필립 기들리 킹 주지사가 호바트에 주둔지를 설치하기 위해 시드니에서 두 척의 배를 섬으로 보내도록 촉구했다.[12]
4. 해양 역사
남극에서 불어오는 남동쪽 인도양과 태즈메이니아 해(Tasman Sea)의 태평양 해역 사이의 강한 해류는 강력하고 거친 폭풍우 파도가 몰아치는 해협을 형성한다. 태즈메이니아와 빅토리아 해안에는 수백 척의 난파선이 있으며, 강철선체의 선박과 현대적인 해상 항해(navigation) 기술의 발달로 위험성이 크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13]
상당히 큰 선박들을 포함하여 많은 선박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거나, 지나간 흔적이 거의 남지 않았다. 해적 행위(piracy), 난파선 약탈(wrecking), 그리고 버뮤다 삼각지대(Bermuda Triangle)와 유사한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신화와 전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실종은 바람과 파도의 위험한 조합과 해협 내에 있는 수많은 반잠수 암초와 암석 지대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13]
이 해협의 험난한 해역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초 유럽이나 인도에서 시드니로 가는 항로를 이용하는 선박들에게는 더 안전하고 덜 거친 항로를 제공했다. 또한 이 해협을 통과함으로써 항해 거리를 약 700nmi 단축시켰다.[2]
5. 자연 자원
배스 해협 동부에는 기프스랜드 분지(Gippsland Basin)로 알려진 여러 개의 석유 및 가스전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대규모 유전은 196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기프스랜드 해안에서 약 50km~65km 떨어진 수심 약 70m 지점에 위치한다.[17] 주요 유전으로는 할리벗 유전(Halibut Field, 1967년 발견), 코비아 유전(Cobia Field, 1972년 발견), 킹피시 유전(Kingfish Field), 마케렐 유전(Mackerel Field), 포티스큐 유전(Fortescue Field, 1978년 발견) 등이 있다.[17] 주요 가스전으로는 휩테일 유전(Whiptail field), 바라쿠타 유전(Barracouta Field), 스내퍼 유전(Snapper Field), 말린 유전(Marlin Field) 등이 있다.[17] 석유와 가스는 호주와 남극 대륙의 분리와 함께 퇴적된 라트로브 그룹(Latrobe Group)의 백악기-에오세 쇄설암에서 생산된다.[17]
오트웨이 분지로 알려진 서부 유전은 1990년대에 포트 캠벨 근해에서 발견되었으며, 2005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
석유와 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롱포드(롱포드 가스 플랜트), 웨스턴 포트(웨스턴포트 정유소 (1985년 폐쇄)), 알토나(알토나 정유소 (2021년 폐쇄 예정)), 지롱(지롱 정유소)의 가스 처리 시설 및 정유소로, 그리고 유조선을 통해 뉴사우스웨일스주로 운송된다. 오트웨이 분지 가스전에서 나오는 파이프라인은 포트 캠벨 인근의 아이오나 가스 플랜트 및 오트웨이 가스 플랜트로 이어진다.
2017년 6월, 빅토리아주 정부는 호주 최초의 해상 풍력 발전소에 대한 3년간의 타당성 조사를 발표했다.[19] 이 프로젝트는 574km2 면적에 250개의 풍력 터빈을 설치하여 약 8,000 GWh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빅토리아주의 전력 사용량의 약 18%에 해당한다. 이는 2017년 초에 폐쇄된 헤이즐우드 발전소의 출력을 대체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5. 1. 에너지 개발 논란
1960년대에 배스 해협 동부에서 가스전이 발견되었는데, 깁스랜드 연안에서 약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 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알토나와 질롱의 정제소로 보내지며, 유조선을 통해 뉴사우스웨일스주로도 운반된다. 1990년대에는 포트캠벨 해안에서 10km 떨어진 곳에서 서부 가스전이 발견되었고, 2005년에 개발이 시작될 예정이었다.6. 보호 구역
배스 해협의 작은 섬들은 일반적으로 어떤 형태의 보호 지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켄트 그룹 국립공원은 태즈메이니아의 켄트 그룹 섬들뿐만 아니라 주변 해역을 포함하는 전용 해양 보호구역이며, 비글 연방 해양 보호구역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다.[1]
6. 1. 연방 해양 보호구역
배스 해협에는 여러 개의 연방 해양 보호구역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남동부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플린더스와 지한, 두 개의 더 큰 보호구역은 대부분 배스 해협 지역 밖으로 확장된다.
6. 2. 주립 해양 국립공원 (빅토리아주)
빅토리아주에는 배스 해협에 여러 개의 해양 국립공원이 있으며, 모두 본토 해안선과 인접해 있다.- 부누롱
- 나인티 마일 비치
- 포인트 애디스
- 포트 필립 헤즈
- 열두 사도
- 윌슨스 프로몬토리
6. 3. 주립 해양 보호구역 (태즈메이니아주)
켄트 그룹 국립공원은 태즈메이니아의 켄트 그룹 섬들뿐만 아니라 주변 해역을 포함하는 전용 해양 보호구역이다. 이 국립공원은 비글 연방 해양 보호구역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다.빅토리아주에는 배스 해협에 여러 개의 해양 국립공원이 있으며, 모두 본토 해안선과 인접해 있다.
- 부누롱
- 나인티 마일 비치
- 포인트 애디스
- 포트 필립 헤즈
- 열두 사도
- 윌슨스 프로몬토리
7. 교통
배스 해협을 횡단하는 가장 빠르고 종종 가장 저렴한 방법은 항공이다. 타스마니아의 주요 공항은 호바트 공항과 론세스톤 공항이며, 주요 항공사는 젯스타,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이다. 주 북부와 해협의 섬에 있는 소규모 공항들은 렉스 항공, 콴타스링크, 킹 아일랜드 항공이 운항한다.
'''상업 화물'''
주요 상업 화물 운송업체인 시로드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데번포트와 포트멜버른 사이를 매일 운항한다.
국내 해상 노선은 태즈메이니아주 데번포트에 기항하는 두 척의 타즈매니아 스피릿(Spirit of Tasmania) 여객차량 페리가 운항한다. 이 선박들은 데번포트와 질롱(Geelong)의 타즈매니아 스피릿 부두(Spirit of Tasmania Quay) 사이를 야간 여행으로 매일 운항하며, 성수기에는 주간 운항이 추가된다.[20]
8. 통신
최초의 해저 통신 케이블은 1859년에 배스 해협을 가로질러 부설되었다. 이 케이블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케이프 오트웨이에서 시작하여 킹 아일랜드와 쓰리험목 아일랜드를 거쳐 타즈매니아 본토의 스탠리 헤드에 연결되었고, 조지 타운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완공 후 몇 주 만에 고장이 나기 시작하여 1861년에는 완전히 작동이 멈췄다.[21]
현재 타즈매니아는 텔스트라가 운영하는 두 개의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본토와 연결되어 있으며, 2006년부터는 Basslink HVDC 케이블에서도 다크 파이버 용량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배스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른 해저 케이블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북쪽 끝 | 남쪽 끝 | 회사 (제조업체 / 운영업체) | 세부 정보 |
---|---|---|---|---|
1859년–1861년 | 케이프 오트웨이 | 스탠리 헤드 | 헨리 전신 공장 타즈매니아 및 빅토리아 정부 | 140nmi |
1869년–? | ? | ? | 헨리 전신 공장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 176nmi |
1885년–? | ? | ? | 텔콘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 |
1909년–1943년 | ? | ? | 지멘스 브라더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 285nmi 토레스 해협에서 재사용됨 |
1936년 | 아폴로 베이 | 스탠리 | 지멘스 브라더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 최초의 전화 케이블, 6개월 만에 고장남[21] |
1995년– | 샌디 포인트 | 보트 하버 | ASN 텔스트라 | 최초의 광섬유 케이블 |
2003년– | 인벌록 | 스탠리 | ASN Calais 텔스트라 | |
2005년– | 로이 양 | 조지 타운 | Basslink | 최초의 전력 송전 케이블 |
9. 대중 문화
1978년, 호주 역사상 가장 유명한 UFO 사건 중 하나가 배스 해협 상공에서 발생했다. 프레더릭 발렌티치는 소형 비행기를 타고 해협 상공을 비행하던 중 인근 공항 직원에게 이상한 물체가 자신의 비행기를 맴돌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런 다음 그는 그 물체가 자신의 비행기 바로 앞으로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공항 직원들은 그 후 금속성의 "긁는" 소리를 들었고, 이어 침묵이 흘렀다. 발렌티치와 그의 비행기는 그 후 실종되었고, 다시는 발견되지 않았다.[22]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스 해협에서 비행기, 선박, 사람들이 실종된 문제는 여러 이론을 낳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손실은 극심한 기상 현상으로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23]
인기 있는 호주 드라마 ''네이버스''의 가장 극적인 스토리 라인 중 하나는 1940년대 테마의 타즈메이니아 관광 비행이 폭탄으로 파괴되었을 때 전개되었다. 비행기는 한밤중에 배스 해협에 추락했고 많은 등장인물의 생명이 위험에 처했으며 일부는 익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2]
웹사이트
Marine Gazetteer Placedetails
http://www.marinereg[...]
VLIZ
2013-05-29
[3]
웹사이트
AHS – AA609582
http://www.hydro.gov[...]
The Australian Hydrographic Service
2012-07-05
[4]
논문
Hunter-Gatherer Cultural Dynamics: Long- and Short-Term Trends in Australian Prehistory
1993-03
[5]
서적
Australia unveiled : the share of the Dutch navigators in the discovery of Australia
Theatrum Orbis Terrarum Ltd.
1976
[6]
서적
Oud en nieuw Oost-Indien
J. van Braam
1724–1726
[7]
서적
Lying for the Admiralty: Captain Cook's Endeavour Voyage
Rosenberg
2018
[8]
서적
The Journals of Captain James Cook on his Voyage of Discovery, vol 1, the Voyage of the Endeavour, 1768–1771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9]
서적
A Voyage to Terra Australis
1814
[10]
웹사이트
Bass Strait
https://www.worldatl[...]
2021-06-16
[11]
서적
Tyranny of Distance: How Distance Shaped Australia's History
Sun Books
[12]
서적
Lying for the Admiralty
Rosenberg
2018
[13]
기타
[14]
논문
The submarine topography of Bass Strait
[15]
논문
Carbonate sandwaves in Bass Strait
[16]
Wikidata
[17]
서적
Fortescue Field, Gippsland Basin, Offshore Australia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18]
웹사이트
Campaigns that Changed Tasmania
https://commonslibra[...]
The Commons Social Change Library
2024-04-06
[19]
웹사이트
Australia's First Offshore Wind Farm Proposed for Gippsland | Premier of Victoria
http://www.premier.v[...]
2017-06-02
[20]
웹사이트
Introducing Spirit of Tasmania Quay
https://www.spiritof[...]
[21]
웹사이트
Apollo Bay Submarine Cable Repeater Station
http://www.aussieher[...]
aussieheritage.com.au
2008-08-13
[22]
서적
Mysteries of the Bass Strait Triangle
Neptune Press
[23]
기타
[24]
뉴스
The Sun News Pictorial
1982-05-05
[25]
웹사이트
Nick Moloney sets new sailing speed record
http://www.mysailing[...]
2015-11-21
[26]
웹사이트
Blackburn's Bass Strait Laser Sailing Record
https://lasersailing[...]
2017-03-28
[27]
웹사이트
Devils inspire Bass Strait crossing
https://www.smh.com.[...]
2009-03-17
[28]
웹사이트
Devil fundraising sailors Adrian Beswick and Josh Phillips
https://www.abc.net.[...]
2009-01-04
[29]
웹사이트
Australian kitesurfers cross the Bass Strait for the first time
https://www.surferto[...]
Surfertoday.com
2009-09-10
[30]
웹사이트
Natalie Clarke kite crosses the Bass Strait in record time
https://www.surferto[...]
Surfertoday.com
2010-03-24
[31]
웹사이트
natalie-clarke-kite-crosses-the-bass-strait-in-record-time
https://www.surferto[...]
2010-03-24
[32]
뉴스
Lone Rower Safe Ashore
https://news.google.[...]
The Age
1971-03-22
[33]
뉴스
Australians cross Bass Strait on paddleboards in 'world first'
http://www.abc.net.a[...]
ABC News
2014-03-05
[34]
웹사이트
Bass Strait Crossing by sea kayak
https://web.archive.[...]
Break Loose
[35]
웹사이트
Bass Strait Crossing
http://www.paddlewit[...]
Paddle with Sim
[3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6-05-04
[37]
뉴스
Andrew McAuley was not crazy or reckless but crossing the Tasman Sea in a kayak was a calculated, planned gamble he lost
http://www.theage.co[...]
2007-02-16
[38]
뉴스
Pair to 'fly' across Bass Strait
http://www.themercur[...]
2009-09-02
[39]
웹사이트
Bass Strait
https://web.archive.[...]
Tammy van Wisse
2013-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